2022. 12. 10. 19:03ㆍ카테고리 없음
슬픈 노래 杜牧(두목)
그로부터 봄을 찾았으나 좀 늦게 갔기에
꽃다운 날 원망하여 슬퍼할 수도 없구나
거센 바람이 진홍색 꽃을 다 떨어뜨리고
푸른 잎이 그늘을 만들어 열매만 가득하네
悵詩(창시) 杜牧(두목)
自是尋春去校遲 자시심춘거교지
不須惆悵怨芳時 불수추창원방시
狂風落盡深紅色 광풍락진심홍색
綠葉成陰子滿枝 녹엽성음자만지
*須 결국, 본래
*校 학교교:헤아리다, 따져보다,장교,울타리,차꼬,다리 ,본받다, 모방--,비교--,조사--,교정--
*自是: 自己 의견만 옳게 여김
*自是之癖:제 뜻이 항상 옳은 줄로만 믿는 버릇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7>녹엽성음(綠葉成陰)
송(宋)나라 계유공(計有功)의 당시기사(唐詩紀事) ‘두목(杜牧)’편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두목이 호주(湖州)를 유람하던 때의 일이다.
어떤 여인과 마주치게 되었는데, 그 여인은 당시 열 살 남짓한 어린 딸아이를 데리고 가고 있었다.
그 딸은 두목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빼어난 얼굴이었다. 호탕한 성격의 두목은 자신도 모르게 그 딸에게 마음이 끌려 여인에게 말했다.
“십 년 뒤 이 아이를 제 아내로 맞이하고 싶습니다. 만일 십 년이 지나도 제가 나타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시집보내십시오.”
그 여인도 흔쾌히 승낙했다. 그러나 두목이 호주를 다시 찾은 것은 약속한 십 년보다 4년이나 지난 뒤였다.
그녀의 행방을 수소문해 보니 이미 3년 전에 다른 남자에게 시집가 자식들을 두고 있었다.
두목은 실망했고 안타까운 마음에 시 한 수를 지어 자신의 마음을 이렇게 나타냈다.
“그로부터 봄을 찾았으나 좀 늦게 갔기에/꽃다운 날 원망하여 슬퍼할 수도 없구나/거센 바람이 진홍색 꽃을 다 떨어뜨리고/푸른 잎이 그늘을 만들어 열매만 가득하네(自是尋春去較遲, 不須추창怨芳時, 狂風落盡深紅色, 綠葉成陰子滿枝.)”
이 칠언절구는 제목이 없었다. 그 당시 사람들이 ‘창시(愴詩)’, 즉 슬픈 시라는 이름으로 제목을 달았던 것이다.
세월이 흘러도 마음 한편에 자리 잡고 있었던 그 아리따운 여인은 이미 없다.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한 게 그저 안타까울 뿐이었다. 훗날 이 시는 제목이 ‘탄화(嘆花)’로 바뀌었다고도 전해온다.
바뀌지 않은 것은 그녀를 향한 두목의 순수한 마음뿐이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