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영국의 1차산업혁명에서 얻는 교훈

2021. 10. 27. 22:13혁신/혁신 사례 역사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새로운 기술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생각하는 기계

 

영국의 1차산업혁명에서 얻는 교훈 (Arnold Toynbee의 The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사회개혁가 Arnold Toynbeesms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경제학·경제사를 공부하고, 옥스퍼드대학대학에서 강의를 하였다. 그는 병약하여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으나 사후 출판된 《18세기 영국산업혁명 강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1884)는 산업혁명동안 영국이 겪었던 실적과 문제점을 조망하고 영국이 해결하고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Arnold Toynbee가  Oxford 대학에서 한 강연에서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이란 용어를 사용하면서, 1760년부터 1840까지 영국이 겪었던 일들을 종합적으로 기술합니다. Arnold Toynbee는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이 어떻게 영국사회를 바꾸었는지, 영국이 어떤 문제를 걲었는지, 이를 어떻게 극복하였는지를 논하고 있습니다. 

 

이 담론은 이후 전개되는 2차산업 혁명 3차산업 동안 기술혁신의 물결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그리고 어떤 문제들을 극복해야하는지에 대하여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 진행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은 지금까지 혁신의 물결들보다 세상에 더 근본적이 변화와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어떻게 이 거대한 변화의 물결에 대하여 Arnold Toynbee의 강연이 어떤 지혜를 줄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Arnold Toynbee는 영국에서 일어난 기술발전과 이에 힘입은 혁신으로 공장시스템이 발전하고, 도시화가 가속되었고, 인구가 증가하고, 경제가 발전하는 과정을 조명합니다. 이어서 이 기간에 영국이 겪은 사회 문화  분야에서의 지각 변동에 대하여서도 조명합니다.  

 

1760년부터 1840 기간중  산업 생산 시스템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공장시스템의 확장으로 제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였고 눈부신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자유방임주의를 주장하는 산업화 주체들이 저임금으로 어린아이까지 채용하는 등 도덕적 붕괴가 만연하였는데도 이에 대하여 적절하게 치유하는데 실패하고 사회적 분열이 극심해졌던 영국의 상황을 진단합니다.

 

Arnold Toynbee는 사회적 분열에 대하여 영국 의회와 정부를 포함한 영국의 지도층이 혁신과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덤 점을 지적하고, 그 결과 영국이 극심한 사회적 혼란을 겪고 잇다고 지적합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영국의 지도층이 나서서 이를 극복하자고 사회개혁운동을 제안합니다.

 

Arnold Toynbee(1852~1883) 사후 1884년에 런던의 슬램가에 토인비ㆍ홀이 세워저,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양대학의 학생 등이 유니버시티ㆍ엑스텐션으로서 센틀먼트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그 영향하에 미국 등 각국으로 퍼져나갑니다. [세틀먼트운동 settlement movement, 인보사업(隣保事業)은 복지(福祉)가 안된 지역에 대학생이나 지식인 등이 의식적으로 들어가서 정주(定住)하며, 지역주민과 함께 살면서 접촉을 통하여 주민을 조직화하고, 보건ㆍ위생ㆍ의료ㆍ교육ㆍ법률상담 등의 활동을 행하여 지역의 복지향상을 도모하는 운동.] 


Arnold Toynbee는 강연에서 산업혁명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시스템 덕분에 영국은 국부를 눈부시게 증가시키는데 성공하였지만,  같은 기간 영국 사회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는 경위를 설명합니다. 현대화된 산업 시스템에 밀려서  지주중심의 봉건경제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어떻게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지고, 어떻게 도시의 빈곤층이 급속하게 늘었났는지,  이 사회적 약자들은 어떻게 경제발전의 성과분배에서 소외되는지 과정을 살펴 보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혁신과 발전의 결과 분배가 왜곡되면서 국민 다수의 물질적인 행복과 정신적인 행복을 해쳤는데 이는 개인적인 문제라기보다는 구조적인 사회 문제이니만큼, 지도층이 사회개혁을 통해 풀어 나가야 하는 당위성을 설득합니다.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의 정의: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이란 단어는 불란서의 Sismondi과 Lassalle, 그리고 Friedrich Engels가 먼저 사용하였는데, 다소 부정적인 의미였습니다.  Simonde de Sismondi 과 Ferdinand Lassalle는  영국이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급속하게 불안정해지면서 사회가 붕괴하고 있다고 관찰하였습니다. 마르크스(Marx)도 Lassalle과 함께 Condition of the Working Class in England in 1844  - Marx and Lassalle에서 영국의 노동계층의 빈곤문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합니다.

 

Arnold Toynbee는 이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이란 용어를 재조명하여 밝은 면과 부정적인 면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  영국이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급속하게 불안정해지면서 사회가 붕괴할 수도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국 지도층이 앞장서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하여 1760년부터 1840까지 영국이 겪은 혁신과 대변혁을 재조명하고,  산업화과정에서 권력의 이동과, 빈곤문제, 도덕적 해이, 노사문제  등 사회문제의 발생과 확산하는 과정을  분석합니다.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의 동력이 되었던 기술 발전과 혁신과정을 조명하고,  이 혁신들이 어떻게 협력하고 조합하여 산업화의 동력이 되었는지를 조명합니다. 이어서 이 혁신들이 어떻게 공장시스템을 혁신하고 대형화으로, 유통의 혁신으로 확산되는 과정도 함께 돌아봅니다. 혁신에 참여하지 못하고 수공업에 의존하던 소규모 공장들이 쇠퇴하고, 농장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여유 노동력이 농촌에서 노동력의 대규모 공장 주변으로 이동하게 되는 과정도 돌아 봅니다. 노동자와 고용주의 관계도 근본적인 변화를 겪게 됩니다. 석턴에너지 생산지 인근이나 공장시스템을 혁신하고 대형화한 지역 주변으로 잉여 노동력이 이동하게 되면서 도시가 형성되었고, 새로 형성된 도시의 지가가 오르고 물가와 생활비가 오르나, 임금은 이에 비하여 오르지 않고 빈곤층이 발생하면서, 사회 불안 요소가 됩니다. Arnold Toynbee는 영국사회가 직면한 문제는 구조적이고 복잡하고 풀어내기 어려운 문제인 것을 거듭 강조하고, 영국을 위하여서 지도층이 나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를 강조합니다.  

 

***************************

Arnold Toynbee는 먼저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된 기술 발전과 혁신과정을 분석합니다. 이어서 어떻게 기술 발전과 혁신이 공장시스템의 발전을 가져왔는지, 어떻게 공장시스템의 발전과 함께 농촌 수공업이 몰락하였는지, 왜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전되었고, 지주계급의 비중이 줄어들고, 공업 생산 및 무역사업자의 비중이 매우커지는 과정도 돌아 봅니다.

  

어떻게 기술 발전과 혁신이 공장시스템의 발전을 촉진하고, 도시화를 촉진하였고, 

이 새로운 잿빛 산업 도시들에서는 폭력적이고 비도덕적인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적라라하게 분석합니다. 

 

Arnold Toynbee는 산업화과정에서 어떻게 권력이 이동하는지, 그리고  빈곤문제, 도덕적 해이, 노사문제  등 사회적 문제가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 그 발생과 확산이 어떻게 상호 관련된 것이지를  분석합니다.   

 

농업에 기계가 도입되면서 식량 생산이  증가하였으나 일손의 필요가 줄어 듭니다. 소작농이 몰락하고 일자리를 잃습니다. 

공장시스템에 밀린 가내수공업은 혁신경쟁에서 밀려 폐업하게 됩니다. 

농촌의 수공업은 몰락하고, 농업에 기계가 사용되면서 노동력이 남아 돌게 됩니다.

​방직업 제철산업 등 공장들은 대형화하고 번영합니다. 생계기반을 잃은 (농촌)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공장으로 찾아 옵니다.

공장 지역에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가 성장합니다. 도시는 커지면서 도시 지역의 지주들은 땅의 사용료를 올리고, 집세와 물가도 덩달아 오릅니다.
그러나 공장주들은 오르는 물가만큼 노동자의 인건비를 올려주지 않았고, 빈곤층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중세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농촌에서 신분제로  살았고, 공동체 성격의 환경에서 가난하여도 안정적인 생활을 하였으나,
농촌을 떠나야 하였고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몰려 들게 되었으나, 도시는 그들을 받아 들일 준비가 부족하였습니다.
​공장들은  노동자를 필요한 만큼 계약하여 고용하게 되면서  
고용주와 피고용인들의 관계 는 Cash-Nexus 관계가 됩니다. Cash-Nexus 관계는 불안정적인 고용의 요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경제 권력이 지주계층에서 공업 생산 및 무역사업자 등 신흥세력으로 이동하면서 의회의 정치권력에도 변화가 생깁니다. ​산업화 사회의 주류로 부상하는 공업 생산 및 무역사업자들이 의회에 진출하고, 새로운 세력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옹호합니다. 

 

사업가들은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을 인용하면서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고 자유시장경제를 주장하였습니다. ​​적자생존과 무한경쟁을 주장합니다.   생존의 벼랑끝에 몰린 노동자들은 노조를 결성하여 노동자의 권익을 찾으려 하였고, 급기야는 러다이트 운동이 일어 납니다. - 공장의 기계를 파괴하는 이 운동은 폭동입니다. ​영국은 대 혼란의 시기를 겪게 됩니다.

​영국사회가 둘로 쪼개져 서로를 비난하는 지경에 이르러서야 정부와 지도층이 분배의 정의에 대하여 토의를 시작합니다.

 

​아놀드 토인비는 적자생존과 무한경쟁을  대하여 항의하고 나섭니다. 인간사회의 경쟁은 자연(정글)의 무한경쟁과는 달라야 한다고 항변합니다.

아놀드 토인비는 산업혁명이 혁명적으로 바꾼 것은 산업, 농업 뿐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이에 걸맞게 고용주와 피고용인들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고, 노조의 의무를 이해하는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의회와 지도층이 전대 미문의 대변화에 대하여 매끄럽게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영국사회가 극심한 사회적 혼란에 빠진 것을 막지 못하였고,​이로 인해 영국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고 항변합니다.  

 

아놀드 토인비는 의회의 교양 있는 지도층의 행동방식을 바꾸고, 영국 공공생활의 특징이 된 자원봉사단체의 행동양식들도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산업혁명의 4대 발명과 혁신과정 - 아놀드 토인비 The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내용.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에 기여한 4대 발명

Arnold Toynbee는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에 기여한 4대 발명을 선정하여 그 기술들이 어떻게 영국의 면제품 산업을 혁신하였는지, 그리고 공장시스템이 발달과정과 산업혁명 전개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다축방적기(The spinning-jenny)입니다.

Hargreaves가 1770년에 특허 등록하였는데 이 기계를 사용하면 한사람이 16명 분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둘째는 Arkwright가 1769년에 특허획득한 수력(물레방아)으로 움직이는 초기의 방적기 (The water frame)입니다.  Richard Arkwright는 Bolton 지역에 사는 이발사였는데 1750년경 면사를 만드는 기계를 만들면 큰 사업 기회가 생긴다는 것을 알고, 시계 제작 업자이던 John Kay와 합작하여 4개의 방적기를 수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합니다 (1760년대 후반) Arkwright는 1769년에 특허독점권을 확보하고 다른 사람들의 복제를 금지시킵니다. 그는 제조와 특허 라이선스로 (현대돈으로 환산 할 때) 30M Pound 수입을 올렸습니다.

셋째 Crompton이 1779 발명한 the spinning mule (노새) 인데 이는 1825년 Roberts가 개량 개발한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Samuel Crompton은 그의 발명을 the spinning mule이라고 명명하였습니다.  그가 발명한 기계는 Arkwright's water frame 과 James Hargreaves' spinning jenny 를 결합하였는데, 이는 마치 노새가 암말과 수당나귀 사이에서 나온 것에 비유한 것입니다.  (암당나귀는 jenny 라고 불리웁니다.)

​넷째가 증기기관입니다. 


위의 발명들은 그 자체로는 산업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하였습니다.

​그런데 1769년 James Watt 가 steam-engine특허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6년 후인 1785년에 Boulton 과 Watt 가  Papplewick의 방직공장을 위하여 증기기관 엔진을 만들게 됩니다.

​같은 해 Arkwright의 특허가 만기가 되면서 새로운 공장시스템들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위의 발명들보다 더욱 중요한 발명은 1785년 Cartwright가 특허를 획득한 power loom (동력을 사용하여 운전하는 직기(織機))이라고 평가합니다. 

 

동력을 사용하여 운전하는 직기(織機) 증기기관과 결합되면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생산성이 개선되고 사업이 번영한 공장들은 직원의 급여를 올려 주었습니다.  

1788년부터 1803년까지 15년동안 면산업 무역량은 3배로 증가하였고, 황금기로 불리웁니다.

1788년 제철산업 blast furnaces 에도 증기기관이 보급되어 제철산업을 혁신하게 됩니다.
제철산업 생산량은 8년동안 2배로 늘어납니다.


그간 수공업으로 진행되던 직물산업과 섬유산업분야의 가내수공업들은 경쟁력을 상실하고 문을 닫게 됩니다.
​실업자들은 도시의 공장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몰리게 되면서 공장은 커지고 도시가 발전하게 됩니다.


공장들은 풍부한 노동력을 공급받게 되고,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공장들이 번영하고 대형화하면서 고용관계의 변화가 생깁니다.  ​상호 연대관계를 갖던- "masters and men"에서  현금을 지급하고 고용하는 "Cash-Nexus"로 바뀌게 됩니다. 

 

기계화와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생산성은 좋아지지만, 시장 수요가 제한된 상황에서 산업의 황금기가 지나면서 실업문제가 커집니다. 집세 등 도시의 물가는 오르는데, 실질 임금이 줄어 들자, 빈곤층 문제가 심각해 집니다,   

 

경제의 쏠림 현상이 커지고 빈부의 격차는 갈수록 커지게 됩니다. ​노동자들은 Trades-Unions을 결성되었습니다.

​​시장에 맡기는 방임으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의 개입이 강조되는 케인즈학파가 등장하여 문제 해결에 앞장서게 됩니다. ​Arnold Toynbee는 영국의 의회와 지도층은 산엽혁명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영국 사회이 지울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겼다고 강조합니다.

 

 

영국의 1차산업혁명 이후의 진행
제1차 산업혁명이래로 영국 등 산업혁명에 참여한 나라에서는 새로운 기술개발과 이로 인하여 촉발된 산업혁명 덕택으로 부강한 나라가 되었고, 산업혁명을 선도한 영국은 해가 지지 않는 패권국가가 됩니다.

아시아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 들은 패권국가와 유럽선진국의 식민지가 되고 시장이 되면서, 유럽은 실업문제와 빈곤층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제 영국의 노종자들에게 임하였던 암울한 그림자는 식민지가 된 나라들 노종자들에게 깊게 드리워집니다.

 

영국의 인구증가

영국의 1차산업혁명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의 기반시설 계획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도시의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과 위생관리가 개선되면서 England & Wales 지역에서 사망률이 낮아지고 인구가 증가하게 됩니다.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구 통계 자료가 있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 

영국의 1차산업혁명에서 얻는 교훈 - 어떻게 4차산업혁명에 대비하여야 하는가 

 

영국의 1차산업혁명에 이어 진행되는 혁신의 물결의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을 가져옵니다.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을  미국이 혁신을 주도하게 됩니다. 미국은 꾸준한 혁신을 기반으로 세계 패권국가로 등극합니다.  

​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공장의 자동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산업 자동화로 육체노동 일자리가 많이 줄어 들었고 산업 생산성은 혁신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한편 새로운 기술들은 새로운 산업을 일으켰고, 새로운 산업분야에 일자리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육체노동 일자리의 빈자리는 무역 유통 금융 등 서비스 분야의 일자리들이 새롭게 생기면서  새로운 일자리로 채워지고, 실업문제의 상당부분을 해소하였습니다.

 

​그런데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혁신을 주도한 나라들에게로 경제의 쏠림 현상이 커지고, 선진국과 후진국의 빈부의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영국이 1차산업혁명 때 겪었던 국내에서의 빈부의 격차 그리고 사회 문제는 세계화되었고 그 간극이 커집니다. ​세계 패권국가들은 4차산업혁명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고 또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제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습니다. 현대사회는 정보사회에서 지능사회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경제를 부흥시키겠다는 전략은 빛을 잃을 전망입니다. 경제의 쏠림 현상이 더욱 커지고 빈부의 격차는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부 전망 보고서들은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을 내고 있습니다. 

제2차 제3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 냈던 것처럼,   4차산업혁명도 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이라는 희망적인 시나리오입니다. 그러나 더 많은 전문가들은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게 되면 많은 일자리가 기계로 대체될것으로 예측합니다.

 

선진국에서 노령화가 진행되면서 생산노동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진 기업들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동화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사정이 그러하니 국가간 기술혁신과 시장 경쟁력 경쟁은 가속될 것입니다.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들이 만들어 지겠지만,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하면서 새로 만들어질 수 있었던 일자리까지도 상당 부분 자동화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로봇들의 성능은 육체노동의 일자리는 물론 정신노동 일자리에서도 사람을 능가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로봇들은 이미 육체노동은 물론 정신노동을 하는 전문직에서도 많은 일자리를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인공지능 연구계획을 보면 인공지능이 인공지능software를 개발하도록 가르치는데,  이 시도가 성공하게 되면 인공지능은 지금까지 사람들이 해 오던 일을 자동화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 사람들이 새로 생각해낼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들까지도 인공지능으로 무장한 로봇들이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그러한 일은 먼저 실리콘밸리에서 시작하겠고, 온 세상으로 번질 것입니다. 

 

이러하니 암울한 일자리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낙관적으로 보지만 말고 현실을 직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는 주장이 많습니다. (AI Software Learns to Make AI Software by Tom Simonite January 18, 2017)

 

​​​각국은 자국 국민의 일자리를 확보하가 위하여 다투게 될 것이 명백하고, 그렇게 되면 4차산업혁명에 낙후한 나라들의 실업문제는 더욱 암울해질 수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에 낙후한 나라들의 경제 성장은 정체될 것이고, 양질의 일자리가 새로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시장을 가진 나라에서는 자국에 생산라인을 가지고 일자리를 만들라고 종용할 것은 불보듯 자명한 일입니다.

우리나라같이 해외 시장 수출에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게는 매우 심각한 도전입니다.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청년 일자리가 생기지 않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입니다. 

4차산업혁명은 새로운 기술의 문제라기 보다는 현재 진행되고 산업의 진화 그리고 이에 따르는 구조적인 사회 문제입니다.  ​​ 4차산업혁명에서 기술의 경쟁력과 새로운 기술의 사업화가 중요하긴 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에 의한 생산성을 극대화가 가져오고 있는 산업 지도와 경제 구도 그리고 사회 지형이 혁명적으로 바뀌는데 대한 대응은 기술의 문제를 훨씬 넘어서는 일입니다.

​영국이 19세에 1차산업혁명 기간중 예상하지 못한 채 겪었던 사회적 혼란 - 계층간 분열 그리고 이로 인한 극심한 사회혼란은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더욱 심각한 형태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19세기 당시에 영국의 역사경제학자 아놀드 토인비가 당시로서는 다소 파격적인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의회와 지도층이 전대 미문의 대변화에 대하여 매끄럽게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영국사회가 극심한 사회적 혼란에 빠진 것을 막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영국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고 항변하고, 의회의 교양 있는 지도층 행동방식을 바꾸고, 영국 공공생활의 특징이 된 자원봉사단체의 행동양식들도 바뀌어야 한다고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를 주장하였습니다. 

 

영국의 보수적인 주류 경제학자들은 산업혁명이란 용어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하였습니다. 80년간 긴 기간에 걸쳐 천천히 일어난 경제 사회적 변화를 혁명이라고 용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비난하기까지 하였습니다. 우리는 1차 산업혁명 당시 주류 경제학자들이 했던 오류를 따라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차산업혁명은 이미 깊숙하게 진행중이며, 예상되는 파급효과는 매우 심각할 것입니다.  4차산업혁명에서 새로운 기술의 중요성을 논의도 중요하고, 기술은 진화하는 것이지 혁명적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것도 맞는 견해입니다. 그러나 단기간에 일어나는 정치혁명보다 더 근본적인 혁신이 서서히 일어날 것입니다. 그러나 피할 수도 거부할 수도 없는 방식으로 일어날 것입니다. 기술혁신은 단순히 산업 혁신으로 끝나지 않고, 사회, 경제, 문화, 군사를 포함하는 우리가 사는 방식을 모두 혁신할 것입니다. 

 

4차산업혁명은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입니다. 적극적으로 대응하여도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현재의 기술만으로도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은 진행되고 있으며, 혁신적인 신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한 자동화 혁신은 이미 여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합니다. 혁신적인 신기술들들은 이 혁신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혁신의 범위를 더욱 넓혀갈 것입니다. 

 

혁신적인 신기술들들은 산업 지도와 경제 구도 그리고 사회 지형을 혁명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국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집중하여 기술 - 경제 - 사회 문제를 입체적으로 대응하였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