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징지법(八徵之法) - 강태공이 육도(六韜)에서 말하는 사람 알아보기 8단계: 1단계 問之以言 以觀其詳 - 질문을 던져 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지를 관찰하라.

2022. 6. 29. 21:49혁신/혁신 사례 역사

 

 

 

팔징지법(八徵之法) - 

강태공이 육도(六韜)에서 말하는 사람 알아보기 8단계 

 

강태공(姜太公)은 3000여년전 중국 주나라 왕실이 나라를 세우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운 강자아[姜子牙]를 왕의 스승으로 부르며극진하게 예우하여 부른 이름이다.

 

강자아[姜子牙] 3000여 년 전  중국 주나라의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주왕을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운 린물이다.

그는 정치와 군사 등 다 방면에 깊은 혜안을 가진 지휘자로서 절대적인 공을 세웠고, 주나라 왕실은 강자아[姜子牙]를 강태공(姜太公)으로 극진하게 대우한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에서는 태공망이 육도(六韜)를 쓴 인물이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중국의 병가(兵家)는 강태공(姜太公)을 비조(鼻祖)로 삼는다.  사마천은 (), (), (), 종횡가(縱橫家)에서 모두 강태공(姜太公)을 기리고 있어 백가종사(百家宗師)라고 쓰고 있다.

 

강태공(姜太公)의 저서 육도(六韜)3,000여년 전에 작성된 가장 오래된 병서이다.

때를 기다릴 줄 알았던 강자아[姜子牙]는 강태공(姜太公)은 전쟁에 있어서 시기(時機)를 절대적 요소로 삼는다. 

육도(六韜)》의 ‘도韜’는 바로 병법의 비결을 뜻한다.

‘도’는 원래 활집이나 칼전대를 말한다. 

강태공(姜太公)은 깊이 감추고 때가 올 때까지 드러내지 않음을 병법의 기본으로 말하고 있다.

육도의 명칭은 전체의 내용을 6개의 도로 나눈 데서 나왔다. 

6개의 도韜는〈문도()〉 〈무도()〉 〈용도()〉 〈호도()〉 〈표도()〉 〈견도()〉이다. 

6권 60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1만 6,800여 자다. 

 

 

 

 

 

 

 

팔징지법(八徵之法) 

강태공은 인재를 발굴하여 함께 일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고,

육도(六韜)에서 問之以言 以觀其詳질문을 던져 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을 출발하여 사람을 알아보는 8단계 에ㅔ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問之以言 以觀其詳

#窮之以辭 以觀其變

#與之間諜 以觀其誠

#明白顯問 以觀其德 - 

#使之以財 以觀其廉

#試之以色 以觀其貞

#告之以難 以觀其勇

#醉之以酒 以觀其態 

 

 

첫째, 전문지식이 있는지를 관찰하라.

問之以言 以觀其詳 - 질문을 던져 일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지를 관찰하라.

인재는 전문적인 소양을 갖추어야 하는데 소위 낙하산인사는 전문성이 부족하여 업무수행을 잘 못하는 것이다.

 

둘째, 위기상황 대처 능력 관찰하라.

窮之以辭 以觀其變 - 말로써 궁지에 몰아넣고 위기상황을 맞게 해 그 사람의 대처 능력을 관찰하라.

다가오는 고난이나 위기를 슬기롭게 대처할 능력을 갖추었나를 검증하라는 것이다.

 

셋째, 성실성 관찰하라

與之間諜 以觀其誠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람의 성실성을 관찰토록 하라.

성실성이 근본 바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넷째, 덕성(인격)을 살피라

明白顯問 以觀其德 - 명백한 질문으로 그 사람의 덕성(인격)을 살피라.

사람 됨됨이를 알 수 있는 인격적 소양을 보고 사람을 뽑으라는 것이다.

 

다섯째, 청렴성 관찰하라.

使之以財 以觀其廉 - 재물을 맡겨 보아 그 사람의 청렴성을 관찰하라.

재물을 탐하는 사람은 부정과 부조리에 휘말리기 쉽기 때문에 청렴성이 필요하다.

 

여섯째, 정조관념 살펴보라.

試之以色 以觀其貞 - 여색으로 시험해 보아 그 사람의 정조관념을 살펴보라.

사생활이 문란하면 업무에 집중할 수 없음을 지적했다.

 

일곱째,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에 열정을 바치는 용기

告之以難 以觀其勇 - 어려운 상황을 알려 주고 그 사람의 용기를 관찰하라.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에 열정을 바치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여덟째, 취중 태도 살피라 

醉之以酒 以觀其態 - 술을 마시게 해 취하게 한 후 그 사람의 취중 태도를 살피라.

취중에서 평소에 감춰진 언행을 볼 수 있어 본성을 알아 볼 수 있다고 하였다.